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 빨간불…꼬리무는 의혹

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 빨간불…꼬리무는 의혹

전북도재난예경보시스템 보안인증방식, 애초 시방서와 달라
전북도통합시스템 구축업체, 연동 대가 요구…음성적 뒷거래 구조 지적
업체·행정 간 소송 불똥…전북도 "우리와 무관" 거리두기 만
전북도, 뒤늦게 기술지원협약 등 시군에 방안 제시
취재 시작되자 전북도통합시스템 직접관리 전환

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 장비. 최명국 기자

 

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의 보안인증방식이 서버를 구축한 특정업체에게 음성적 뒷거래가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됐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변경에 따른 소송까지 제기되는 등 잡음이 일고 있다.

전라북도 기상관측 및 재난예경보시설 통합연계시스템(사업비 6억 7천 9백만 원), 2016년 착수된 과업지시서에는 14개 시군의 재난예경보시스템과 호환되도록 설계돼 있다.

그런데 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과 시군 간 연동을 놓고 전북 진안지역에서는 호환에 대한 기술료 형식으로 수천만 원의 뒷거래 시도가 있었다.

진안지역 시스템 업체에게 돈을 요구한 곳은 다름아닌 전라북도청에 재난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한 O업체.

이러한 음성적 뒷거래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는 전라북도 재난방송 시스템의 보안인증방식이 과업지시서와 다르게 구축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전라북도 재난방송 시스템 프로토콜 보안인증은 애초 고정형이라 불리는 CID(Caller ID)방식으로 설계됐지만 실제 운영은 이와 다르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도와 시군간 시스템 호환작업을 어렵게 만든 뒤 기술료 형식으로 뒷돈을 챙기려는 의도가 숨어있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실제 O업체는 충북 진천 마을방송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업체로부터 정보기술료 명목으로 6천만 원을 받은 사실이 CBS노컷뉴스 취재에서 드러났다.

전라북도청 도민정보시스템실. 최명국 기자

 

또, 전라북도 재난방송시스템과 호환하도록 마을방송시스템 구축사업을 하고 있는 순창에서는 행정을 상대로 소송이 제기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순창군 마을방송시스템 구축 사업자인 H업체(2차사업자)는 진정서를 통해 "CID방식의 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의 보안인증방식이 OTP(One Time Password)로 변경됐다"고 주장하고 '서버프로그램 정보공개에 대한 지원'을 전북도에 요청했다.

예산절감 등을 이유로 재난방송과 마을방송을 하나의 통신장비로 운영하고 있는 순창군이 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과의 호환을 과업지시서에 명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라북도는 회신(2020.3.19)을 통해 “2016년 최초 설치 때부터 무작위로 생성되는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하고 있다(OTP) ”며 변경된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재난방송 체계는 전북도청 재난프로그램을 거쳐 송출되는 방식이 아닌 시군에서 마을로 직접 송출되는 방식”이어서 "전북도와 무관하다"며 협조 요청을 수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순창군 마을방송 1차 사업자가 전라북도 시스템과의 호환작업을 마치고 사업을 마무리했기 때문에 이같은 해명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아울러 순창군 1차 사업자가 OTP방식의 보안인증방식을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해서 업계 일각에서는 '미스테리'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라북도청사. 김용완 기자

 

전라북도는 O업체 등 시스템구축에 참여한 9개 업체등과 기술지원협약을 맺고 통합시스템의 유지보수를 하고 있다.

유지보수는 전라북도가 직접하지 않고 매년 입찰방식으로 위탁업체를 선정해 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 유지보수에 책정된 예산은 1억 4천만 원 가량이다.

"위탁관리업체가 매년 입찰방식으로 선정되지만 실제 관리업체는 따로 있다"는 의혹도 관련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전라북도는 CBS노컷뉴스 취재가 시작되자 "전라북도 재난예경보통합시스템의 위탁관리방식을 중단하고 직접 운영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 논란의 소지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방송정보통신산업 업계 한 관계자는 재난예경보시스템과 마을방송 추진 과정의 각종 잡음을 놓고 "공무원이 무지하거나 커넥션이 있지 않고서는 발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전북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