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청 전경. 전북도 제공전북도가 지지부진했던 친일 잔재 청산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힌 가운데, 지역 사회의 논쟁 거리가 되는 친일 인사의 흔적 지우기가 성과를 낼지 관심이 모인다.
전북도가 2020년 실시한 '친일 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연구용역' 결과를 보면, 도내 친일 잔재는 총 133건이다.
지역별로는 군산이 3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주 27건, 고창 16건, 익산 15건, 완주 11건, 김제 8건 등의 순이다.
이 가운데 올해 현재 69건(51.8%)을 청산 완료했다.
군산이 22건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김제와 고창, 부안은 더딘 편이다.
김제의 경우 구마모토 공덕비, 부안은 옛 부안금융조합에 대해 안내문을 설치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청산 작업을 마무리했다.
고창은 잔재 14건 중 옛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과 미당 서정주 시비(동백꽃, 선운사 노래비)를 청산하는데 그쳤다.
미당시문학관, 수당 김연수 송덕비, 미당 서정주 생가, 인촌 김성수 및 수당 김연수 생가, 흥해농장 일본인 가옥터 및 돌계단 등은 그대로다.
이 중 고창 출신의 시인 미당 서정주와 인촌 김성수의 흔적이 깃든 시설물은 지역사회의 뜨거운 감자다.
앞서 고려대학교와 동아일보를 설립한 김성수(1891~1955)의 호를 딴 고창군 부안면의 '인촌로' 개명을 놓고도 주민 여론조사에서 반대표가 많았다.
김성수는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의 발기인을 맡아 당시 젊은이들의 일본군 지원을 독려하는 적극적 친일행위에 나섰다. 2014년 대법원은 김성수의 행위를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했다.
서정주(1915~2000)는 일제강점기 가미카제 특공대에 투입된 조선인 청년을 미화한 '오장(伍長) 마쓰이 송가' 등 친일시(詩)를 썼다는 비판을 받는다.
전북도는 중장기 검토 중인 잔재 청산에 대해 전문가 자문 및 공론화에 나설 예정이다.
안내문 설치와 공간 재활용을 위한 예산을 세우고, 영상교육 자료를 활용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을 뒷받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