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에 있는 전주종합리싸이클링타운 모습. 연합뉴스최근 전주 리싸이클링타운에서 폐기물 반입이 지연된 것을 두고 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가 전주시를 압박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지연시킨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사측은 의도를 가지고 늦춘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달 28일 전주리싸이클링타운에서는 평소보다 2시간 가량 폐기물 반입이 늦어졌다. 일주일 전인 21일엔 전주시에 폐기물 반입장 문을 여는 시각을 오전 8시로 변경하겠다는 공문을 보냈다.
이를 두고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지난 8일 성명을 통해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의 폐기물 반입 시간 변경은 공공시설을 이윤 창출의 '협상 카드'로 사용하려는 시도다"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이번 반입 지연 배경에 음폐수 반입 및 처리 사업에 대한 전주시와 운영사 간 정산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측이 전주시 등에 보낸 공문 내용. 전주MBC뉴스데스크 유튜브 영상 캡처.앞서 전주시는 감사를 통해 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전주시와의 협의 없이 외부 음폐수를 전주리싸이클링타운 내부로 반입하거나 전주시가 승인한 것보다 많은 양의 음폐수를 반입 처리해 이익을 봤음에도 불구하고 전주시에 정산 보고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전주시에 돈을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자 정산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운영사가 폐기물 반입 시간을 늦췄다는 것이 노조 측 입장이다.
그러나 CBS노컷뉴스가 확인한 결과, 전주시와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 측은 폐기물 반입 지연이 발생했던 지난달 28일보다 일주일 앞선 21일, 음폐수 반입 및 처리 정산에 대한 합의를 이미 마쳤던 것으로 확인됐다.
전주시 관계자는 "운영사 측이 납부해야 하는 9억 5천만 원 중 4억 9천만 원은 올해 3월에 납부했다. 나머지 4억 6천만 원은 이번달부터 사용료에서 1억 원씩 차감하기로 했다"며 "사측이 적자 경영의 어려움을 호소해서, 시 차원에서 5개월 동안 분납하게끔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운영사 측은 전주시와 정산 문제가 해결됐음에도 불구하고 의도를 가지고 반입을 지연시킨 것처럼 풀이한 일부 보도에 의해 억울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전주리싸이클링타운 관계자는 "폐기물 반입이 지연된 것은 기존에 처리하지 못한 잔재물이 쌓인 탓이지 의도가 있어 늦춘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잔재물 처리 현장을 정리할 청소 요원과 신호수 등 안전요원 배치와 관련해 전주시와 이견이 있어 빚어진 일이라고 설명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사업장 주변의 청결을 유지할 인원(청소 요원)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요원(신호수) 등을 현장에 배치해야 한다.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는 작년 10월까지 잔재물 처리 업체와 직접 계약을 맺어왔으나, 새 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비공개 입찰, 일감 몰아주기 등 민원이 제기돼 전주시가 직접 처리 업체 입찰을 진행했다.
전주시가 신규 업체와 계약을 맺기 전까지 운영사는 현장 청소요원과 안전요원을 직접 배치해 운영했다.
그러나 새로운 업체가 업무를 개시한 지난달 25일, 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는 안전 기준을 근거로 해당 업체가 내부로 진입해 잔재물을 처리하는 것을 막았다.
리싸이클링타운 관계자는 "전주시에서 계약한 업체니, 안전 교육이나 안전 관리 등에 대한 의무는 해당 업체에 있다"라며 산안법 상 안전 기준이 충족되지 않아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잔재물 처리 작업을 할 순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전주시는 "고용노동부에 작업 현장에서 청소 요원이나 신호수 등 배치의 의무 주체가 누군지에 대한 자문을 구한 상태"이며 "자문 결과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주리싸이클링타운에는 28일 이후 현재까지 20톤(t)가량의 잔재물과 약 60톤(t)의 분류되지 않은 폐기물이 적체된 채 작업이 중지된 상태다. 전주시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폐기물은 전주리싸이클링타운이 아닌 도내 다른 업체에서 분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