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청 항공사진. 전주시 제공전북 전주시가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 부문 감축 방안을 세웠다.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대를 위한 종합대책을 주문한 우범기 시장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됐다.
20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역 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487만 4천t(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이다. 건물 배출량이 180만 7천t으로 전체의 37.1%를 차지한다. 이어 수송 137만 9천t(28.3%), 산업 117만 9천t(24.2%), 폐기물 48만 3천t(9.9%) 등의 순이다.
건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주로 전력, 도시가스 등 연료 사용에 따른 것이다. 노후 건축물이 많은 지역 특성상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하다. 노후 건축물은 신축에 비해 단위면적당 2배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전주시는 지은 지 25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이 전체 주택의 60.6%를 차지한다.
전주시는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국가 로드맵 조기 추진, 신축 건축물 ZEB, 시민 체감형 탄소중립 랜드마크 조성 등에 나선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건물이 소비하는 에너지와 생산하는 에너지를 합쳐 사용량이 '제로(0)'가 되는 건축물을 의미한다.
시는 내년 1월부터 신축 및 증축, 그린리모델링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ZEB 인증 대상 확대 및 3등급으로 상향을 앞당겨 추진한다. 2030년에 ZEB 3등급 수준 적용인 국가 계획을 4년이나 앞서 시행하는 셈이다. 또한 공공청사 그린리모델링의 일환으로 시청사 별관으로 쓰게 될 현대해상 빌딩에 단열 성능 향상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설치를 추진한다.
민간 건축물에 대해서도 국가 계획보다 앞당겨 ZEB 등급 상향을 추진한다. 30세대, 연면적 1천㎡ 이상 건축물을 지을 때 ZEB 5등급 수준으로 설계 여부를 건축위원회 심의 때 확인한다.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에 대해 2030년부터 20년 동안 ZEB 4등급 수준 설계를 적용하도록 한다.
정부는 민간 아파트에서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수준의 설계가 적용되면 주택 건설 비용이 가구당 전용 84㎡ 기준 130만원 정도 높아질 것으로 봤다.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며 연간 에너지 비용 약 22만원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6년 정도면 공사 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전주시는 민간 부문 확대 적용과 참여 기반 조성을 위해 녹색건축지원 전담팀을 신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