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5일 완주군청. 완주군의회 유의식 의장과 반대단체 측의 완주군민들이 김관영 전북도지사의 차량을 막고 있다. 송승민 기자김관영 전북도지사가 이재명 대통령의 타운홀 미팅이 열리면 "전주-완주 통합을 의제화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통합 반대를 외치고 있는 완주군의회도 "의제로 삼는 것에 동의한다"며 "통합 반대의 논리를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완주군의회 유의식 의장은 14일 "통합을 의제화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찬성 측의 입장을 이야기하듯이 반대의 입장에서도 이야기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찬반이 대립하는 모양새는 좋지 않지만, 의견을 피력할 수는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유 의장은 통합 반대 논리로 "논산시에서 계룡시가 분리됐고, 괴산군에 증평읍이 있었는데 증평군으로 분리됐다"며 "오히려 분리된 곳이 훨씬 더 특화되고 잘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합만이 제일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완주군의회 유의식 의장. 완주군의회 제공 통합 성공 사례로 거론되는 청주-청원에 대해서는 "청원은 오송이라든지 발전 지향적인 준비가 되어 있었다"면서도 "우리와 제일 가까운 이리-익산을 보면 완전히 쑥대밭이 됐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그는 "통합이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많다"며 "통합을 하려면 준비가 필요한데, 이게 1년 남겨놓고 한다는 게 사실은 준비 부족 아니냐"고 지적했다.
완주군의회 이주갑 의원 또한 "받아들이기 쉽지 않지만, 의제화는 본인의 몫"이라며 "완주군민에게 의사 결정권이 있기에 군민을 무시 또는 배제하는 것에 대해 강력히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합을 완주가 결정하는데 마치 본인들이 하는 것처럼 도가 끌고 가는 것은 전혀 민주주의에 맞지 않다"며 "지방자치나 자치분권을 역행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CBS라디오와 인터뷰에서 "전주-완주 통합 이야기를 타운홀 미팅에서 하고 싶다"며 "대통령께서 양쪽을 중재하면서 상당한, 진전된 협상안을 던지면서 말씀하지 않을까 한다"고 했다.
이어 "행정 통합을 위한 대통령 직속 TF"를 언급하며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과 지방의 특례시"를 대통령의 협상안으로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