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회 청사 전경. 전주시의회 제공전북 전주시의회 사무국 직원들이 의원 국외연수 비용을 부풀렸다는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29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전북 전주완산경찰서는 지난해 5~6월 시의원 국외연수 과정에서 연수 비용을 과다 책정한 의회 사무국 직원 여러 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입건했다.
이들은 실제 항공료보다 많은 금액을 여행사에 지출하는 등 연수 비용을 부풀린 혐의를 받고 있다. 이렇게 높게 책정한 연수 비용 중 일부는 의원 등에게 현금으로 되돌려주는 방식의 '리베이트' 의혹도 제기됐다.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연수에 참여한 의원들에 대한 소환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앞서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는 전국 243개 지방의회를 대상으로 2022년 1월~지난해 5월까지 국외 출장 실태를 점검해 전북도의회와 전주시의회를 포함한 규정 위반 사례들을 적발했다. 권익위부터 수사를 의뢰받은 경찰은 여행사 관계자와 의회 사무국 직원 등을 조사하고 있다.
시의회 국외연수는 부적격 여행사 선정으로 시작 단계부터 잡음이 일었다. 의원 32명과 시의회 사무국 직원 9명 등 41명은 지난해 5월 3개조로 나뉘어 국외연수를 떠난다. 상임위원회별로 연수 주제에 따라 조를 편성하고 진행업체를 선정한 가운데 문제는 당시 이기동 시의장이 포함된 2조에서 불거졌다.
시의회는 실제 주사업장 소재지가 다른 지역에 있음에도 '전주시'라고 허위 기재한 A 여행사를 2조의 연수 진행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가 뒤늦게 문제가 불거지자 2순위 업체를 최종 선정했다.
이 과정에서 A 여행사가 2016년 전북도의회 해외연수를 주관할 때 도의원에게 뇌물을 줬던 업체라는 게 밝혀졌다. 또한 A 여행사 대표가 해당 연수단에 포함된 특정 의원과 친분 관계가 있다는 의혹도 나와 논란을 키웠다.
또한 당시 2조 연수에는 출장 계획서에 공개하지 않은 민간 사업체와 사업가들을 대동한 것이 확인돼 적절성 논란이 일었다. 해당 사업체는 전주시의 보조금 지원 대상이 되거나 실제 보조금 사업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