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익산지역위원회가 31일 기자회견을 통해 만경강 수변도시 중단을 요구했다. 조국혁신당 익산지역위원회 제공조국혁신당 익산시지역위원회가 익산시가 추진하는 만경강 수변도시 조성사업이 도시 여건과 주거 실태를 외면한 무리한 공급 확대라며 중단을 촉구했다.
조국혁신당 익산시지역위원회는 이미 악성 미분양이 누적되고 주택 수요가 정체된 익산의 현실을 무시한 결정으로 행정 신뢰와 지역경제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위험한 도박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지역 내 미분양이 1100세대에 이르고 이 가운데 20%는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는 악성 미분양으로 만경강 수변도시 사업이 구도심 공동화와 지역 상권 침체, 공공재정 손실 등 도시 전반의 구조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국혁신당 익산시지역위원회는 현재도 재건축을 추진하던 시민들이 이주를 마친 후 공사가 중단되거나 철거도 못하고 방치돼 있으며 입주자 피해와 임대 전환, 가격 폭락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국혁신당 익산시지역위원회는 정헌율 시장 임기 중 이례적인 규모로 아파트 인허가가 폭증해 공급 총량과 속도 모두 상식적 범위를 초과했다면서 익산시가 개발 이익만을 노리는 세력을 위한 도시냐고 따져 물었다.
조국혁신당 익산시지역위원회는 만경강 수변도시 개발은 익산시의 행정 현실과 경제 여건, 도시 구조 모두에 맞지 않는 무리한 사업으로 리스크는 익산시가 지고 수익은 민간이 선점할 구조라고 강조하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익산시가 추진하는 만경강 수변도시 조감도. 익산시 제공한편 익산시는 이러한 조국혁신당 익산시지역위원회의 입장에 대해 만경강 수변도시는 균형발전과 미래 성장 기반을 위한 새만금 배후도시이자 공공기관 거점도시 조성사업이라고 반박했다.
익산시는 만경강 수변도시는 2030년 이후 분양 입주 예정으로 현시점 신규 아파트와 5년 이상 시차가 있는 새로운 정주 수요에 대응하는 것으로 미래를 대비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익산시는 또 민간 특혜는 제도적으로 차단돼 있으며 민간참여자의 이윤율 상한 10%는 공모 단계부터 사업계획에 반드시 반영해야 하며 초과이익은 공공기관 부지 제공이나 기반시설 확충 등으로 환수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익산시는 남은 절차도 흔들림 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사업 추진에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