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공동행동)은 16일 전북특별자치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도와 국토부의 새만금신공항 사업 취소소송 항소 포기를 촉구했다. 심동훈 기자"새만금 국제공항 기본계획을 취소하라"는 법원의 1심 판결을 두고 전북특별자치도가 국토부와 함께 항소에 나설 것을 예고한 가운데, 시민환경단체가 전북도를 규탄했다.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공동행동)은 16일 전북특별자치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만금신공항의 경제적 허구와 환경적 문제가 모두 인정됐음에도 불구하고 김관영 지사를 비롯한 정치인들은 사죄하지 않고 오히려 망언을 이어가고 있다"고 외쳤다.
단체는 "정치인들은 지금껏 전북이 공항이 없는 유일한 지자체라는 거짓말로 도민의 박탈감과 소외감을 부추기며 새만금신공항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며 "그러나 새만금신공항은 지역경제 활성화, 국가 균형 발전 그 어떤 것도 이뤄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제주항공 참사를 겪고도 무안공항보다 650배나 높은 조류충돌위험도에 전북도는 '보완 조치하면 된다'는 망언을 일삼았다"며 "어떻게 보완 조치할 것인가. 새들에게 새만금을 피해가라고 할 것인가, 조류에게 보상금을 줄 것인가"라며 비판했다.
공동행동은 새만금신공항이 독립된 민간국제공항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함을 재차 강조했다.
이들은 "새만금신공항은 미군 기지 바로 옆에 위치하는 입지적 한계로 핵심노선인 중국 노선을 취항하지 못한다"며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에 따라 관제권이 미군에 귀속되는 새만금신공항은 결코 독립된 민간국제공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공동행동)은 16일 전북특별자치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도와 국토부의 항소 포기를 촉구했다. 심동훈 기자새만금신공항의 규모를 근거로 공항이 전북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될 수 없음을 비판하기도 했다.
단체는 "새만금신공항의 활주로는 2500m로 군산공항(2745m)보다 짧고, C급 항공기만 취항 할 수 있어 동남아 등으로만 운항하고 화물전용기의 이착륙도 불가능하다"며 "비행기를 동시에 댈 수 있는 주기장도 5개뿐이라 적자공항으로 알려진 무안국제공항의 50개 주기장에 비하면 10분의 1수준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대부분의 물류는 해상으로 운송되고, 0.2% 수준의 항공물류도 대부분 인천국제공항에서 처리하고 있다"며 "새만금신공항은 아무런 경제 성장도 견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공동행동은 "전북 경제를 발전시키지 않는 새만금신공항 건설은 아무런 당위성과 시급성이 없다"며 "전북경제를 살리기는커녕 전북 경제를 악화시키고 전쟁 위기 속에 한반도를 내모는 위험천만한 사업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정 전북지역 경제를 살리고 싶다면 갯벌과 습지를 보존한 순천만의 경우처럼 수라갯벌을 비롯한 새만금의 갯벌과 습지를 보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전북도지사와 정치권은 공항이 전북을 살릴 수 없음을 인정하고 새만금신공항 사업의 항소를 포기하라"고 거듭 외쳤다.
이날 기자회견장엔 '더불어민주당-전북특별자치도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하고자 전북도청을 방문한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기자회견에 공동행동 관계자들과 인사하기도 했다.
단체 관계자들은 정 대표를 향해 "기자회견 들어달라 새만금신공항 항소 포기하라"등 구호를 외쳤고, 정 대표는 문정현 신부에게 "어디서 오셨냐"며 안부 인사를 건네기도 했다.
이날 기자회견장엔 '더불어민주당-전북특별자치도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하고자 전북도청을 방문한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문정현 신부 등 공동행동 관계자들과 인사하기도 했다. 심동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