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 적십자 봉사원들이 지난 1월 27일 상봉 경험이 없는 김이호 할아버지(105세) 댁을 방문, 건강식품과 위로금을 전하며 안부를 묻고 있다. 연합뉴스남북관계 경색으로 2018년 이후 정부 차원의 이산가족 교류가 뚝 끊겼다.
윤석열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더 악화하면서 고령 이산가족의 애타는 마음이 커지고 있다.
통일부 발표를 앞둔 '제4차 남북 이산가족 교류 촉진 기본계획(2023~2025년)'에 따르면, 정부에 대한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누적 13만3675명) 중 지난해 기준 생존자는 4만2624명(31.9%)으로 집계됐다.
전년(4만6215명)에 비해 7.8% 줄었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약 3천600여명 늘었다.
생존자 비율은 꾸준히 줄어 2025년 3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6년 2월을 기점으로 사망자가 생존자 수보다 많아졌다는 게 통일부의 설명이다.
고향이 북한지역인 생존자 비율(2022년 기준) 55.0%로 절반 이상이었다. 지역별로는 황해도(8천912명)가 가장 많았고, 평안남도(4천583명), 함경남도(3천999명), 평안북도(2천655명) 등의 순이다.
성비는 남성이 61.2%, 여성 38.8%였다.
국내 이산가족 현황. 통일부 제공생존자의 64%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경기 30.2%, 서울 25.6%, 인천 8.1%, 부산 4.3% 등의 순이다. 전북지역 생존자는 741명(1.7%)이다.
평균 연령은 83.3세로, 2년 뒤 80대 이상 비율이 6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부는 제4차 남북 이산가족 교류 촉진 기본계획에서 '이산가족의 전면적 교류'와 '이산가족 정책 추진 역량 및 동력 강화'를 목표로 세웠다.
생존자의 고령화 상황을 감안해 생사 확인과 대면·화상상봉, 고향 방문, 소식 교류 등의 추진방안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통일부는 통일·대북정책 3원칙으로 △일체의 무력도발 불용 △호혜적 남북관계 발전 △평화적 통일기반 구축을 제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한 올해 업무계획에선 남북대화가 재개되면 북측과 이산가족과 국군포로, 억류·납북자 문제 등 인도적 사안을 가장 먼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 차원의 남북 이산가족 상봉과 생사 확인, 서신 교환은 문재인 정부 때인 지난 2018년 이후 중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