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범기 전주시장과 전은수 자광 대표이사(왼쪽부터)가 30일 전주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 사업에 대한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주시 제공전북 전주시와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사업자인 ㈜자광이 30일 관광타워 복합 개발 사업과 관련해 '공공기여와 사업 시행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전주시와 자광은 대한방직 부지의 용도지역 변경에 따른 토지가치 상승분 전액과 지역사회 공헌 등을 반영한 3855억원 상당의 현물과 현금 기여를 공식 합의했다.
전주시는 내년 1월 중 대한방직 부지의 용도지역 변경을 포함한 도시관리계획을 고시한다. 내년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추진되는 개발 사업의 건축계획에 대한 통합심의와 인허가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사업승인이 나면 자광은 6조 2천억원을 들여 전주 옛 대한방직 부지 23만㎡에 관광타워와 상업시설, 공동주택 등을 짓는다.
이번 협약서는 △사업 개요 △지역경제 활성화 △공공기여 이행계획 △환경 및 안전관리 △지역사회 공헌 △토지거래 허가구역 등으로 짜였다.
협약에 따라 시행사인 ㈜자광은 도로, 공원, 교량 등 약 2528억원을 현금과 현물로 공공기여한다. 공공기여량은 대한방직 부지의 도시관리계획 결정 전·후의 감정평가를 통해 토지가치 상승분의 100%를 반영했다.
예비감정에서 2380억원이 나왔지만 토지가치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와 공공성 논리 강화에 주력한 전주시 대응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주시는 ㈜자광과 협상 끝에 민간사업자가 내놓아야 할 공공기여량을 법적 최대 기준인 토지가치 상승분의 전액으로 확정했다.
공공기여와 별도로 ㈜자광은 교육 장려·장학금 지원, 소외계층과 다문화가정 후원, 전통시장 및 중소상인 상생 협력 등에 앞으로 20년간 매년 25억원을 낸다. 360억원 상당의 건축비가 투입되는 시립미술관도 시에 기부채납한다.
전주 옛 대한방직 개발사업 조감도. 전주시 제공전은수 ㈜자광 대표이사는 "사업의 추진에 대해 많은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협약서에 정한 사업시행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랜드마크로서 타워 건립과 시민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공공기여 사업을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개발계획과 교통 및 공공시설 확충 등 시민의 이익과 전주시의 발전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했다"며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사업이 지역 관광산업 발전을 이끌고,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