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올림픽 전북 단독·공동개최 '험로'…분산개최 전략 필요

2036올림픽 전북 단독·공동개최 '험로'…분산개최 전략 필요

전북 단독개최는 사실상 희박
대한체육회 정관상 공동개최 불가능
분산개최 가능…이마저도 쉽지 않아
김관영 전북지사 정치력 시험대

지난 1월 7일 2036 하계올림픽 유치 현장평가단이 전주월드컵경기장에 도착하자 전북 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 많은 도민들이 피켓을 흔들며 평가단을 환영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지난 1월 7일 2036 하계올림픽 유치 현장평가단이 전주월드컵경기장에 도착하자 전북 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 많은 도민들이 피켓을 흔들며 평가단을 환영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2036년 하계올림픽 후보지를 선정하기 위한 대한체육회의 국제이사회가 오는 17일 열릴 예정이다. 서울과 전북이 유치전에 뛰어든 가운데, 열세인 전북의 단독개최는 사실상 힘들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과 전주의 단독개최, 두 가지 안건만이 이사회의 심의에 상정된 상황에서 공동개최도 불가능하다. 이에 전북자치도의 현실적인 목표는 분산개최로, 김관영 전북도지사의 정치적 역량이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대한체육회 국제이사회는 오는 17일 심의를 열고 서울과 전주의 올림픽 현장실사를 평가할 계획이다. 이 자리는 대한체육회 현장평가단의 서울·전북을 대상으로 한 실사를 검증하는 절차다. 새로운 안건을 상정할 수 없다.

이사회의 심의를 통과하면 오는 28일 있을 대의원 총회에서 최종 후보지가 결정된다.

그러나 전북의 전망은 밝지 않다. 서울에 비해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서울은 88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이 있고, 경기장은 물론 교통과 숙박 등 모든 인프라가 갖춰진 세계적 도시다.

또 대한체육회 대의원 총회는 38개 종목 76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돼 있는데, "전북도가 확실하게 확보한 표는 4표에 불과하다"는 전언이 나오고 있다.
전북도는 203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기존 경기장의 관중석을 임시 증축하고 임시 경기장을 설치해 개최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다른 지역의 경기장도 활용하는 비수도권 연대 올림픽을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조감도. 전북도 제공전북도는 203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기존 경기장의 관중석을 임시 증축하고 임시 경기장을 설치해 개최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다른 지역의 경기장도 활용하는 비수도권 연대 올림픽을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조감도. 전북도 제공 단독개최가 아닌 공동개최를 노리는 전략도 이제는 불가능하다. 대한체육회 정관에 따르면 대의원 총회에서 새로운 안건을 상정하기 위해서는 대의원 전원이 만장일치로 동의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동개최의 가능성은 없지만, 분산개최는 노릴 수 있다.

대의원 총회 이후 문화체육관광부의 심의가 진행된다. 문체부는 총회에서 결정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유치 계획을 확인한다. 이때 서울시가 세부 계획을 전북을 포함하는 분산개최로 수정하거나, 문체부가 분산개최를 검토하도록 서울시에 요청하는 방안이 있다.

분산개최에서 전북도가 소구력을 가질 수 있는 종목은 새만금을 활용한 해양 스포츠 쪽이다. 이마저도 서울시가 수도권인 인천에 해양 스포츠 종목을 배정할 가능성이 높아 쉽지 않다. 문체부와 서울시를 상대로 한 김관영 전북지사의 정치력이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 전북도 제공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 전북도 제공한편, 전북도는 기존 올림픽 개최 방식을 뛰어넘는 '비수도권 연대 올림픽'을 내세우고 있다. 전북 외에 광주, 전남 고흥, 충남 홍성, 충북 청주, 대구 등 지역의 경기장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시설 공유를 넘어선다. 지방도시 연대라는 혁신적 패러다임으로 지역 간 화합과 협력을 도모하고, 각 지역의 역량을 결집해 새로운 국가균형발전 모델을 제시한다는 구상이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전북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