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범기 전북 전주시장이 "전주-완주 통합시청과 시의회 등 주요 행정기관을 완주에 건립하겠다"고 밝히자, 유희태 완주군수가 "의견 수렴조차 없는 일방적인 발표를 반대한다"고 반발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14일 완주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 시장은) 다분히 정치적이고, 실현 가능성도 없는 공약을 발표했다"며 "완주군의 갈등을 조장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그는 "우 시장의 공약은 부지와 예산, 시기 등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며 "법적인 근거와 주민 의견 수렴이 없고 전주시의회의 동의조차 얻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완주군의 또 다른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한 유 군수는 "지난 2014년 충북 청주시 통합 당시 상생발전방안으로 청원군에 신청사 건립을 약속했지만, 내부 갈등 후 청주시에 청사가 건립됐다"며 "가까이 이리의 경우 익산과 통합 당시 시청사를 함열에 이전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고 구체적 예시를 언급했다.
이어 "올림픽 유치와 통합은 무관하며 올림픽을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해 갈등을 조장해선 안 된다"며 "전북도의 유치 전략인 연대와 협력에 집중하는 게 올림픽 유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완주군은 행정통합 논의를 철회하는 것은 물론, 전주시장의 완주군 행사 참여 자제, 행안부의 여론조사 실시 등을 요구했다.
전주시청과 완주군청. 전주시, 완주군 제공 앞서 우범기 전주시장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두 지역의 상생 비전으로 "통합 시청과 시의회를 비롯해 전주문화재단 등 6개 출연기관을 완주로 이전해 행정복합타운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민원인 불편 해소를 위해 시청 기능을 구청에 분배하고, 통합 이후 특례시 지정을 끌어내 더 많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주시민과 시의회, 기관 종사자의 의견 수렴 없이 너무 성급하게 공식화했다는 지적과 함께 이전 부지나 예산 확보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해 진정성에 의구심을 갖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전주-완주 통합 시도는 2012년에 이어 네 번째 시도다. 이번 통합 시도 역시 극심한 지역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