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인덕마을. 최명국 기자24일 전북 전주 덕진구 전북대학교병원 인근의 인덕마을. 1970~80년대 배경의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판자촌이 비탈길을 따라 줄지었다. 마을 맞은편의 잘 정돈된 아파트와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60여 년 전 궁핍했던 주민들이 하나둘 국유지 귀퉁이에 모여 살면서 만들어진 무허가 동네다. 전체 부지는 1만 4887㎡, 이 중 40여 세대가 사는 주택 부지는 8825㎡에 달한다. 지난 2015년 전북대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 관리를 이관했다. 주민들은 캠코와 대부계약을 맺고 대부료를 부담하거나 계약 관계가 아닌 경우 변상금을 내고 있다.
제대로 된 주소가 없다 보니 집수리나 증·개축을 할 수 없고 모든 집이 '인후동2가 99-2번지'라는 같은 주소를 써야 해 택배나 배달을 이용하는 것도 쉽지 않다. 마을 주민들은 "부지 매입을 통해 무단점유자가 아닌 주거 소유자로 인정받고 남들과 같은 주거 혜택을 누리게 해 달라"고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전주시가 캠코로부터 해당 부지를 사들여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공공개발을 통해 현 거주민들에게 매각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전주시는 인덕마을에 대한 공공개발 검토에 나섰다. 시는 지난주부터 인덕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주거 현황, 공공개발에 대한 생각 등을 묻고 있다. 주거환경이 열악한 만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도 살필 계획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인덕마을 공공개발 검토에 앞서 주민 현황과 주거 형태 등에 대한 기초조사가 필요하다"며 "주민들의 의사를 최우선에 둘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