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립미술관 조감도. 전주시 제공전북 전주시가 야침 차게 추진하는 양대 문화시설인 시립미술관과 문화예술회관 건립 사업에 대한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에 관심에 쏠린다.
두 사업은 우범기 시장의 공약이지만 앞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타당성 조사에서 모두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전주시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착공 예정인 시립미술관에 대한 지방행정연구원 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이 0.5 미만으로 나왔다. 통상 B/C 1.0 미만이면 경제성이 없는 사업으로 판단된다.
시립미술관은 전주종합경기장 옛 야구장 부지에 약 500억 원을 들여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1만 2470㎡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건물 내부에는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어린이갤러리 △수장고 △다목적공간 등이 들어선다.
현 덕진예술회관 자리에 짓는 문화예술회관 건립 사업도 지방행정연구원 타당성 조사에서 B/C가 0.5 아래로 나왔다. 문화예술회관은 공연장과 전시장, 회의장 등을 갖출 계획이다. 주차장은 164면이며 연면적으로 볼 때 덕진예술회관의 2배 규모다. 지역 대표 문예회관인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 크게 뒤지지 않는다.
타당성 조사 결과는 행안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에서 핵심 자료로 쓰인다.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는 지방재정의 계획적·효율적 운영과 중복투자 방지를 위해 사전에 사업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심사하는 제도다.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체육 신축사업은 사업비 200억 원 이상이 심사 대상이다.
행안부는 전주시립미술관에 대해 최근 심사에 들어갔다. 문화예술회관의 경우 올 하반기에 다룰 계획이다.
전주시는 문화시설은 경제성뿐만 아니라 문화적, 사회적 가치도 중요하게 고려하는 만큼 낙심하기 이르다는 입장이다. 실제 지난해 말과 이달 초 충주시립미술관, 창원시립미술관 건립 사업이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