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전북본부가 지난 27일 오전 전주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금과 식비 인상 등 처우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6월 초 총파업에 돌입할 것을 경고했다. 심동훈 기자전주 시내버스 노조가 전주시와의 대화를 우선하며 파업에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전국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전북지부 측은 28일 "파업을 경고한 기자회견 이후 전주시가 노사정 협의를 제안했다"며 "노사정 협의 결과에 따라 파업 여부가 결정된다"고 말했다.
노조는 "전주시와 6월 5일까지 최소 2~3번의 면담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5일에 열리는 노조 대책위원회에서 추후 대응을 논의할 예정이다"라며 5일까지는 파업이 없을 거라고 말했다.
앞서 노조는 전주시청 노송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시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6개월의 지난한 노사 교섭을 마치게 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이들은 작년 12월부터 임금과 식비 인상, 통상임금 적용 범위 등 6개 사안을 두고 사측과 교섭해 왔다.
노조는 "회사는 '전주시가 나서야 해결될 수 있다'고 하고, 전주시는 '사측과 교섭에서 다룰 사항'이라며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전주시의 무책임한 태도가 버스 조합원들의 분노를 유발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시내버스 운전 노동자들의 처우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전북 지역 버스 조합원들이 모두 참가하는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에 전주시는 노사 간 협의를 조율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백미영 전주시 버스정책과장은 "시가 협상의 주체는 아니지만, 노동자와 회사가 원만히 타협할 수 있게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