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전북도지사. 전북도 제공더불어민주당 윤준병(전북 정읍·고창) 의원이 전북자치도의 전주 하계 올림픽 유치 도전을 비판하고 나서자,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굉장히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일희일비하지 않고 발목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29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도민들이 열망과 간절한 마음을 갖고 있는 올림픽 유치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갖고 왔다"며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윤 의원이 '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IOC와 두 차례 회의를 했고, IOC의 요청에 따라 회의 내용은 비공개"라며 "IOC가 국내 언론을 계속 모니터링하는 상황에서 '부적격 판정'이라는 표현은 대단히 부적절하며, 신뢰 관계상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정면으로 지적했다.
그는 현재 상황이 '부적격 판정'이 아닌 "우리의 계획에 대해 IOC가 '이렇게 하는 것이 유치 가능성을 더 높이지 않겠냐'며 서로 대화하며 조정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24 파리올림픽 폐회식에서 토마스 바흐 IOC위원장이 캐런 배스 LA 시장에게 올림픽기를 전달하고 있다. 생드니=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YW 황진환 기자이어 대한체육회의 국내 유치도시 선정 과정에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김 지사는 "대한체육회가 지난 9월 5일 전국 시도체육회에 공문을 보내 절차를 시작했다"며 "문체부와 한마디 상의 없이 진행했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사실 관계 확인을 제대로 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윤 의원은 "총사업비의 40% 이상을 광역지자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의무에 대해 전북도의회가 동의했는지 등을 먼저 정리해야 한다"며 "올림픽을 이용한 정치적 선전은 중단되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훈령에 따른 원칙이지만 역대 올림픽은 모두 특별법으로 국비를 95%까지 지원받았다"며 "현재는 정부 승인 요건을 갖추기 위한 첫 단추로 지방비 40% 부담으로 도의회 동의를 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 지사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한 분 한 분의 의견이 다르다고 해서 그 의견에 전부 발목을 잡힐 수는 없다"며 "생각했던 바대로 쭉 밀고 나갈 것"이라고 올림픽 유치 도전을 계속 이어갈 뜻을 분명히 했다.